현재 캐시노트에서는 각 공단과 국세청에서 제공하는 기본 산식으로 급여명세서를 자동으로 계산해 드리고 있습니다. 다만 4대보험 혹은 소득세는 각 공단에서 정산하는 달이거나, 소득 기준에 따라 실제 청구하는 금액과 다를 수 있습니다. 때문에 해당 금액을 정확히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, 각 공단에서 조회해 보시길 권해드립니다.
-
국민연금
-
국민연금은 월급 기준으로 9% 납부
-
근로자 4.5%
-
사업주 4.5%
-
최저 33만원 ~ 최고 524만원의 상한액과 하한액이 존재합니다.
-
-
-
건강보험
-
건강보험은 월급의 6.99%
-
근로자 3.495%
-
사업주 3.495%
-
-
장기요양보험료는 건강보험료의 12.27%로,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50%씩 부담합니다.
-
-
고용보험
-
월급 기준 근로자 0.8%
-
월급 기준 사업자 0.8%
-
-
산재보험
-
월급 X 보험료율 / 1000
-
산재보험료율 문의 : 근로복지공단 1588 - 0075
-
-
소득세
-
소득세는 계산할 때 월급의 몇 %로 계산할 지(원천징수세율)에 대해 선택할 수 있습니다.
-
80%, 100%, 120% 중 선택하여 계산하면 되고, 캐시노트에서는 100% 기준으로 계산해 드리고 있습니다.
-
-
(참고) 일반 직원이 아닌 프리랜서의 경우, 4대보험 필수 가입이 아니기 때문에 소득세 3%, 지방소득세 0.3%로 계산됩니다.